전셋값이 끝을 모르고 계속 치솟으면서 매맷값과 큰 차이 나지 않는 상황이 벌어지자 새로운 풍속도가 생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먼저 혹시나 전세 보증금을 떼일까 걱정하는 마음에 보험에 가입하는 사람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세 보증금 보장 보험은 전세가 끝난 뒤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을 경우 전세보증금을 대신 지급해주는 상품인데요.<br /><br />현재 주택도시보증공사와 SGI서울보증에서 보험 상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올해 1분기 주택도시보증공사의 '전세보증금반환보증' 가입 건수는 4,087건으로 지난해 685건보다 6배 가까이 급증했습니다.<br /><br />SGI서울보증의 '전세금보장신용보험' 가입 건수 역시 지난해보다 25% 정도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전세 보증금 4억 원짜리 아파트라면 SGI서울보증 상품의 경우 매달 6만4천 원을, 주택도시보증공사의 경우 5만 원을 전세 계약 기간인 2년 동안 내야 합니다.<br /><br />그래도 적지 않은 이 돈을 내고서라도 전 재산일 수도 있을 전세 보증금을 지키려는 분들이 이만큼 늘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SGI서울보증과 주택도시보증공사의 보험 상품,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.<br /><br />먼저 SGI서울보증은 전세 보증금 액수와 상관없이 가입되고 공인중개사에게 직접 가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집주인의 동의가 필요합니다.<br /><br />반면 주택도시보증공사는 전세 보증금이 수도권은 4억 원 이하, 그 밖의 지역은 3억 원 이하인 경우로 제한돼 있지만 집주인의 동의는 필요치 않습니다.<br /><br />이 밖에도 보험요율과 보증 한도가 조금씩 다르니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꼼꼼히 상품을 비교해서 고를 필요가 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또 보증금과 기존 융자를 합한 금액이 집값의 80%를 넘지 않는다면 보험 가입을 신중히 결정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490_2016062015565281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